정부24 국세 환급금조회

꿀팁정보|2020. 5. 27. 23:08

보고된 발표자료에 따르면 20년 5월 현재까지 무려 1천 434억원의 미환급 국세가 돌려받지 않은채 남아있다고 합니다. 

세금을 원천징수와 같이 미리 납부하고, 나중에 계산해 보니 실제 내야할 세금보다 많이낸 경우에는 돌려받아야 하는데, 이걸 모르는 분들이 많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통지서를 받고도 수령하지 않은 경우가 있는 반면 주소지 변경으로 미환급금에 대한 통지를 못 받은 분들도 많다고 하는데요. 어떻게 돌려 받을 수 있을까요?


정부24 국세 환급금조회


코로나 사태로 가뜩이나 어려운 상황에서 환급되는 돈이 있다면, 마치 재난지원금 같은 기분이 들것 같습니다. 생활하는데 적잖이 도움이 될 것 같은데요. 미환급금이 남아 있는지 조회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정부24 국세 환급금조회

정부에서는 모두가 코로나19로 어려움을 겪는 이때, 찾아주는 미수령 환급금 서비스를 평년대비 한달여 일찍 실시하게 되었습니다. 따라서 환급금이 있는 분들은 전화, 우편물, 문자, 카카오톡 메세지 등 다양한 수단을 통해 환급금 통지를 받으실 수 있게 됩니다. 



한편, 환급금을 수령하기 위한방법으로는 정부24 홈페이지를 이용하거나 국세청 홈택스 및 손택스 (모바일)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정부24 국세 환급금조회 방법

 

 

정부24 사이트를 통해 환급금을 조회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포털검색 등을 통해 정부24 홈페이지에 접속하면 다음과 같은 화면을 보게됩니다.


화면 상단 메뉴 중 서비스에 마우스를 가져다대면 하위메뉴들을 보실 수 있는데요. 행정정보공동이용 (e하나로민원)을 선택합니다. 



e하나로민원의 세부카테고리 중 미환급금찾기를 선택해야 합니다. 해당 메뉴는 좌측 상단쪽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정부24 환급금조회 절차에 대한 상세한 안내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절차는 5단계로 설명되고 있지만 실제로는 더욱 간단합니다. 환급대상자인지 조회를 통해 맞으면 환급신청을 하면 됩니다. 



미환급금 찾기 버튼을 선택하면 별도의 창으로 미환급금 찾기 통합서비스가 열립니다. 여기서 이름과 주민등록번호, 사업자인 경우 사업자번호와 상호를 입력하시고 미환급금 유무확인 버튼을 누르면 바로 확인이 가능합니다. 


한편, 보이스피싱이나 스팸문자 등 정부를 사칭하는 사기가 만연할 것으로 예상이 되는데요. 어떤경우라도 절대로 계좌번호나 비밀번호를 알려달라는 요구에 응하면 안됩니다. 


의심스러운 경우 국번없이 국세상담센터 126 한국인터넷진흥원 118, 금융감독원 1332 경찰청 112 을 통해 상담 및 신고 해주시기 바랍니다. 


아쉽게도 저는 국세환급금 대상자가 아니었는데요, 이글을 읽는 분들은 국세환급금으로 재난지원금 한번 더 받으시길 바랍니다. 


댓글()